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사용자  ─  응용프로그램  ─  유틸리티  ─  하드웨어
                                                         ↑
                                OS는 유틸리티와 하드웨어 사이에 위치한다.


운영체제의 목적
  - 자원의 효율적인 운영 및 자원스케줄링
  - 응답시간 단축, 반환시간 단축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
  1. 처리능력(Throughput)
      : 단위 시간안에 처리하는 일의 양 (많을수록 좋다)
  2. 반환시간(Thrnaround Time)
      : 사용자로부터 받은 명령어를 처리하고 나오는 시간(반환시간이 짧을수록 좋다)
  3. 사용가능도(Availability)
      : 바로 사용 할 수 있는가?(DOS보다 윈도우가 좋다)
  4. 신뢰도(Reliability)
      : 신뢰도가 높을수록 좋다.

다중화(Multiplexing)란?
  - 하나의 통신 회선에 다수의 터미널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장점 : 선로의 공동 이용이 가능하므로 전송 효율이 높아짐

다중화 기법

  1.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 통신 회선에 여러개의 주파수를 보내는 방식 (ex. 라디오, 티비)
     - 완충지역 : 주파수대가 비슷하면 혼선이 오기때문에 주파수대를 띄우는 사이 부분
     - 공유 회선의 대역폭이 넓어야 한다.

  2. 시분할 다중화(TDM; Time-Division Multiplexing)
     - 시간을 쪼개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고속 전송에 사용한다.



다중화기(MUX; MultipleXer)란?
  - 여러개의 터미널 신호를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여러 단말기가 같은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다중화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로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
     (회선 하나를 가지고 동시에 보내기 위해서 사용한다는 의미)


다중화기의 종류

  1.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FDM; Frequency-Division Multiplexer)
      : 통신 회선의 주파수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여러 대의 단말기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의 특징
       - 주파수 대역폭을 작은 대역폭으로 나누어 사용
       - 하나의 채널에 주파수 대역별로 전송로가 구성
       - 전송하려는 신호의 필요한 대역폭보다 전송매체의 유효대역폭이 클 때 사용
       - 주파수 분할은 변복조 기능도 포함하기 때문에 별도의 모뎀을 필요로 하지 않음         
       - 여러개의 정보 신호를 한 개의 전송선로에서 동시에 전송 가능
       - 시분할 다중화 장비에 비해 가격이 쌈
       - 가드밴드의 이용으로 채널의 이용률이 낮아짐으로써 시분할 다중화기에 비해 비효율적
       - 채널간의 누화 및 상호변조잡음을 막기 위해 완충지역으로 보호대역(가드밴드 Guard Band)이 필요

  2. 시분할 다중화기(TDM; Time-Division Multiplexer)
      : 통신 회선의 대역폭을 일정한 시간 폭(Time Slot)으로 분할한 것
        시분할 다중화기의 특징 : 대역폭의 이용도가 높아 고속 전송에 용이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와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가 있다.

   -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STDM; Synchronous TDM)
      : 전송 매체상의 전송 프레임마다 해당 채널의 타임 슬롯이 고정적으로 할당 되는 다중화 방식
        타임 슬롯을 고정적으로 할당하여 타임슬롯이 낭비될 수 있다.
        쉽게말해 데이터가 보낼게 있든 없음 일정하게 나눠서 보냄(비효율적이다)

    - 비동기식(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ATDM; Asynchronous TDM)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타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화 방식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타임 슬롯을 할당함으로써 전송 효율과 속도를 높임
         제어 회로가 복잡함

  3. 집중화기(Concentrator)

         : 여러 개의 채널을 몇 개의 소수 회선을 공유화 시키는 장치
           한개의 데이터를 집중해서 보내고 그동안 다른 데이터를 버퍼링에 저장해둔다.



 * 다중화기와 집중화기의 차이점
   : 다중화기의 경우 A, B, C가 동시에 파일을 보내려고 할때 A+B+C보다 대역폭이 커야 하지만 집중화기의 경우 
     A+B+C가 대역폭보다 커도 된다. 회선의 성능이 좋을때는 다중화기를 사용하지만 그렇지 않을때는 집중화기를 사용한다.

DTE/DCE 접속 규격

접속 규격 표준안

  1.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

     ① V시리즈
       - 공중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MODEM) 접속 규격
       - V.24 : DTE/DCE가 데이터를 보내기/받기를 위한 기능적, 절차적 조건에 대한 규정
       - V.28 : 전기적 조건에 대한 규정

     ② X시리즈
       - 공중데이터 교환망(PSDN)을 통한 DTE/DEC(DSU, CSU) 접속 규격
       - X.20 : 비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 X.21 : 동기식 접속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 X.25 : 패킷 전송(패킷 교환망과 접속하기위한)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 대표적인 패킷교환망은 인터넷이다.

  2.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 전자공업협회

     ① RS-232C
       - 공중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 ITU-T의 V.24를 가져와 RS-232C를 만듬
       - 데이터 회선종단장치(신호변환장치, DCE)와 단말장치(터미널, DTE)사이의 물리적, 전기적 접속규격
       - 25핀(PIN)으로 구성된 커넥터 (주로 9핀과 15핀 사용, 기본은 25핀)
         각 핀으로 무엇을 보낼 것이냐에 대한 규약 (2번핀은 송신을 담당, 3번핀은 수신을 담당)

     * 주요 핀의 기능
         RTS(Request To Send) : 송신요청
         CTS(Clear To Send) : 송신 준비 완료

통신 제어 장치(CCU; Communication Control Unit)란?
  : 통신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제어하는 장치, 데이터 전송회선(DCE)과 컴퓨터(DCE)를 연결 하는 장치

통신 제어 장치의 기능
  - 전송 제어 : 통신의 시작과 종료 제어, 송신권 제어, 교환, 분기(보내고 받는거에 대한 제어)
  - 동기 제어 : 통신회선의 전송속도와 중앙처리장치의 처리속도 사이에서 조정 수행(타이밍, 속도 제어)
  - 오류 제어 :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수행
  - 흐름 제어

통신 제어 장치의 분류

  : 쉽게말해 통신간의 속도차이 때문에 생기는 버퍼링을 제어하는 장치라고 보면된다.
    통신 제어 장치 내부에 들어가 있는 버퍼 메모리의 크기라고 보면 된다.
   - 비트버퍼
   - 문자버퍼
   - 블록 버퍼
   - 메시지 버퍼

데이터 전송회선(신호 변환 장치 DCE + 통신 회선)란?
  : 전송 신호를 송, 수신하기 위한 통로를 말한다.

신호 변환장치(DCE; Data Circuit Equipment)란?

  - 단말 장치와 통신 회선사이에 신호를 변환 시켜주는 장치
  - 컴퓨터나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통신회선에 적합한 신호로 변경하는 장치

통신 회선(cable)이란?
  :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전송되는 선로



신호 변환장치의 종류

  1. 전화기
    - 송화기 : 인간의 음성 신호(에너지)를 전기 신호(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
    - 수화기 : 전기 신호(에너지)를 음성 신호(에너지)로 변환해 주는 장치

  2. 모뎀(MODEM; 변조 + 복조)
    - 디지털 신호를 전송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해주는 장치
      * 아날로그를 전송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해주는 장치가 아님
    - 공중전화통신망(PSTN)에 컴퓨터나 단말기를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
    - 모뎀의 기능 : 변, 복조기능 / 데이터 통신 및 속도 제어
    - 널(Null) 모뎀 : 터미널과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는 모뎀

  3. 코덱(CODEC)
    - 사운드 카드에 들어간 장치(ex. 핸드폰), 모뎀과 반대이다.
    - 아날로그 신호(음성)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변경하는 장치

  4. DSU(Digital Service Unit)/CSU
    - 컴퓨터에서 나온 디지털 신호를 전송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조
      (단극성 디지털 신호를 멀리까지 전송하기위해 양극성 디지털 신호로 변조)

 

단말 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란?
  : 입출력 제어 및 송, 수신 제어기능 수행
     - 통신 시스템과 사용자의 접점(끝점의 위치)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
     - 전화기, FAX, 휴대폰, 리모콘, 컴퓨터 등 다양함

단말 장치의 기능
  1. 입출력기능
  2. 전송 제어 기능
    - 입출력 제어 기능(데이터가 단말기로 들어가고 나오는 개념)
    - 회선 제어 기능(송수신 제어 기능, 에러 제어 기능)
    - 회선 접속 기능

  3. 기억기능

단말 장치의 분류
   1. 범용단말장치
   2. 전용단말장치 : 은행용, 증권, 교통용, 교육용 등

   3. 복합 단말 장치
     - 지능(Intelligent)형 단말기 - 처리능력
     - 리모트 배치 터미널(Remote Batch Terminal) - 원거리에서 일괄 처리하는 단말기

처리기와 메모리의 유무에 따른 분류

   1. 지능형(Intelligent) -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단독으로 업무처리 가능, 스마트단말장치라고도 함
   2. 비지능형(Non-Intelligent) - 단독으로 업무처리 능력이 없음, 더미(Dummy) 단말 장치라고도 함

데이터 통신 시스템(Data Communication System)의 정의
  :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계와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하는 데이터 처리계로 구분된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
  - 데이터 전송계 : 정보 전송을 담당
                           종류 : 단말장치, 데이터 전송회선, 통신제어장치
  - 데이터 처리계 : 정보의 가공, 처리, 저장 등을 담당
                           종류 : 컴퓨터 시스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

  - 고속,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 제공
  - 고성능의 에러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시스템 신뢰도가 높음
  - 거리와 시간의 한계 극복
  - 대형 컴퓨터의 공동 이용
  - 대용량 파일의 공동 이용
  - 분산 처리 방법 활용
  - 원격지의 정보처리기기 사이의 효율적 정보교환
  - 정보통신망의 초고속화 및 글 로벌화

  * 데이터 송수신 과정
     단말장치(DTE) → 모뎀(DCE;신호변환 장치) → 통신회선 → 모뎀(DCE) → 컴퓨터(DTE)


데이터통신시스템의 3가지 구성요소
  : 단말장치, 전송장치, 통신 제어장치(컴퓨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발달 과정
  1. SAGE(Semi-Automatic Ground Environment)
     : 미 공군에 설치된 반자동 방공 시스템. 최초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ARPANET(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Network)
     : 1969년 미 국방성에 설치한 최초의 유선 패킷 교환 시스템. 인터넷의 효시

  3. ALOHA(Additive Links On-line Hawaii Area)
     : 최초의 패킷 전송 방식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처리 형태

  1. 오프라인 시스템(Off-line System)
      : 단말 장치와 컴퓨터가 통신회선으로 직접 연결되있지 않은 형태

  2. 온라인 시스템(On-line System)
       : 단말 장치와 컴퓨터가 통신 회선으로 직접 연결 되어 있는 형태
        - 실시간(real-time)처리에 이용
        - 데이터 발생지의 단말기가 원격지에 설치된 컴퓨터와 통신회선을 통해 직접 연결
        - 데이터의 전송과 처리과정에 사람이 개입되지 않음
        - 통신제어장치는 시분할 처리방식을 사용
        - 은행 업무 및 좌석 예약 등에 주로 이용

  3. 일괄 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System)
      : 정보나 데이터를 일정 기간 또는 일정 단위로 묶어서 한번에 처리하는 방식

  4.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System)
      : 데이터가 발생한 시점 즉석에서 그 결과를 데이터가 발생한 곳으로 되돌려 보내는 방식

  5. 시분할 처리(Time Sharing System)
      : 하나의 컴퓨터를 여러 개의 단말기가 정해진 시간동안 번갈아 가며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



통신제어 프로그램(통신 소프트웨어,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 컴퓨터와 단말 장치 간에 데이터를 송,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총칭

통신제어 프로그램의 기능

  - 데이터 송수신
  - 통신 하드웨어 제어
  - 이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 File 관리 및 Recovery 기능
  - Hardware와의 Interface 기능
  - 데이터 입, 출력 제어 기능
  - 데이터 버퍼링 기능
  - 오류 처리 기능
  - 암호화 기능은 통신 제어 장치의 기능이 아니다

정보통신망(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란?
  : 정보의 전달체계를 말한다.

정보통신망의 3대 동작
  - 전달 기능
  - 신호 기능
  - 제어 기능

정보통신망의 3대 구성 요소

  - 단말장치
  - 교환장치
  - 전송 장치

정보통신(Information Communication)의 정의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에 의하여 통신처리기능은 물론이고, 정보처리기능에 정보의 변환, 제작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
  - 정보처리가 가능한 기계와 기계간에 전기적인 통신회선을 통해 정보를 송, 수신하는 통신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의 정의

  - 디지털 신호형태로 표현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아날로그적은 데이터 통신이 아니다)

정보통신과 데이터 통신의 차이

  : 정보통신은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모든행위를 일컫는 반면 데이터 통신은 컴퓨터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 로 변형하여 정보를 송,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통신은 데이터 통신을 포함한다)


통신 구성의 3요소


  1. 정보를 보내는 장소(Source), 정보원
                          ↓
  2.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a)
                          ↓
  3. 정보를 수신하는 장소(Destination), 정보 목적지, 정보처리원

해싱(Hashing)이란?
  : 키 값으로부터 레코드가 저장되어 주소를 직접 계산하여 산출된 주소로 바로 접근하는 방법
    키 주소 변환 방법이라고도 한다.

(ex. 키값을 7로 나눈 나머지 값을 주소로 한다고 하면,)
     키값     4     7     11     9     81     64
     주소     4     0      4      2     4       0      라는 주소값이 나온다

* 위의 값에서 키값이 9인 값을 검색시 바로 9값을 7로 나누어 주소인 2를 찾으면 되기 때문에 검색 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키값 4, 11, 81과 같이 주소가 충돌(Collision)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4(4, 11, 81)와 같이 같은 주소를 가진 키의 집합을 동의어라 한다.
   주소가 일정하지 않아 규칙이 없이 저장되므로 저장 효율이 좋지 않다. (빈공간이 많이 생김)

  - 충돌(Collision) : 레코드를 삽입할 때 2개의 상이한 레코드가 똑같은 주소로 해싱되는 것을 의미
  - 동의어(Synonym) : 해싱 함수의 값이 같은 키들의 집합

+ Recent posts